본문 바로가기


수영이나 샤워 또는 계곡에서 놀다가 귀에 물이들어가는 경우가 있다.

 

귀에 물이 들어오게 되면 청력 저하, 가려움증, 심한 경우 염증으로 이어지게 된다.

 

물론 귀에 물이 들어오게 되면 물소리가 나면서 소리가 둔해지는데다가 이물감이 느껴져서 누구나 진단하기 쉽다.

 

 

귀에 들어간 물이 잘안빠지는 이유

귀는 외이, 중이, 내이로 구성되어 있는데 귀에 물이 들어오게 되면 주로 외이도에 머물게 된다. 문제는 외이도 형태가 약간의 곡선을 띄고 있어 물이 자연스럽게 빠지기 어렵게 만든다. 여기서 방치하게 되면 습한 환경을 조성하여 곰팡이나 박테리아 같은 균에 감염되기 쉬워진다.

 

귀에 물빼는법

가장 간단한 방법은 중력을 이용하여 물이들어간 귀를 아래로 향하게 하고 고개를 좌우로 흔들어주는 방식이다. 이렇게 되면 외이도에 고였던 물이 중력에 의해서 아래로 떨어지기 때문이다. 만약 귀에 너무많은 물이 들어간 상태라면 귀에 물이 들어간 쪽을 손바닥으로 귀를 덮어 밀착 시키고 진공 상태로 만들어 손바닥을 때는 행위로 여러번 하게 되면 압력차이로 귀에 물을 빼는데 도움이 될것이다. 이를 중력과 압력 두가지 이용방법을 권장한다.

 

귀에 물빼는법 시도가 어려운 아이들은 차라리 따뜻한 드라이어기를 이용하여 귀를 말려주는 것도 좋다. 단 드라이기를 귀에 너무 가까이 대면 화상을 입을수 있으니 주의를 해주는 것이 좋고 또다른 방법은 알콜과 식초를 1:1로 섞어서 귀에 떨어트리면 물이 희석되거나 증발을 촉진할수 있다. 이때 알콜은 물을 증발 시켜주고 식초는 균의 성장을 억제하여 외이도염을 예방할수 있다.